붉은 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 빈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 빈에서 1919년부터 1934년까지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DAP)이 주도한 사회주의적 개혁 시대를 일컫는다. 붉은 빈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혼란스러운 사회 상황 속에서 빈 시의회 선거에서 SDAP가 승리하며 시작되었으며, 공공 주택 건설, 복지 및 의료 서비스 확대, 독자적인 재정 정책 시행 등 다양한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보수 세력과의 갈등, 중앙 정부의 재정적 압박 등으로 인해 1934년 오스트리아 내전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오스트리아-마르크스주의
오스트리아-마르크스주의는 20세기 초 다양한 이론적 흐름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사상으로, 볼셰비키 혁명 모델을 거부하고 다민족 국가 문제와 민족적 인적 자율성 개념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 오스트리아의 정치사 - 오스트로파시즘
오스트로파시즘은 193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돌푸스 수상이 주도한 권위주의적인 파시즘 체제로, 이탈리아 파시즘을 모델로 삼았으나 가톨릭 사회주의와 오스트리아 독립을 강조하며 나치 독일의 합병 시도에 저항하는 특징을 지녔다. - 오스트리아의 정치사 - 오스트리아-마르크스주의
오스트리아-마르크스주의는 20세기 초 다양한 이론적 흐름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사상으로, 볼셰비키 혁명 모델을 거부하고 다민족 국가 문제와 민족적 인적 자율성 개념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사회민주주의 - 제러미 코빈
제러미 코빈은 1949년 윌트셔주에서 태어난 영국의 정치인으로, 노동당 당수와 야당 대표를 역임하고 이즐링턴 노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사회주의적 입장을 표방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펼쳤다.
붉은 빈 | |
---|---|
개요 | |
![]() | |
기간 | 1919년 ~ 1934년 |
위치 | 오스트리아 빈 |
이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이후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정치 | |
정치 체제 | 사회민주주의 |
집권 정당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 |
주요 정책 | |
주택 건설 | 게마인데바우텐 건설 장려 |
사회 복지 | 공공 서비스 확대 (의료, 교육) |
노동 정책 | 노동 시간 단축, 임금 인상 |
문화 정책 | 문화 및 여가 활동 지원 |
주요 인물 | |
지도자 | 야코프 로이터-모저 |
영향력 있는 인물 | 카를 마르크스 오토 바우어 |
역사적 의의 | |
영향 | 유럽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 |
특징 | 진보적인 사회 정책과 문화적 혁신 |
관련 사건 | |
주요 사건 | 오스트리아 내전 (1934년) |
종말 | 엔겔베르트 돌푸스의 권위주의 정권 수립으로 종결 |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로 막을 내린 후 1918년 11월 12일,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과 범게르만 민족주의자들은 바이마르 공화국과의 합병(안슐루스)을 통해 경제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생제르맹 조약은 이를 명시적으로 금지했다.[1]
1919년 오스트리아 제헌 의회 선거에서 사회민주당(SDAP)은 40.8%의 득표율로 기독교 사회당(CSP)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지만, 1920년 선거 이후로는 1945년까지 연방 차원에서 야당이나 지하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1]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자인 카를 레너가 임시 국가상서로 선출되었으나, 1920년 전국 선거에서 CSP 후보 미하엘 마이어에게 자리를 내주었다.[1]
지그문트 프로이트, 알프레트 아들러, 카를 뷔러, 아르투어 슈니츨러, 카를 크라우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아돌프 로스, 아르놀트 쇤베르크 등 사회주의 지식인들과 가톨릭 민족주의자인 요제프 에버레|Josef Eberlede, 한스 아이블|Hans Eiblde, 요하네스 메스너|Johannes Messnerde 등 보수주의 성향 지식인들이 빈에 모여들어 지적 자원이 풍부해졌다.[5]
카를 폴라니는 훗날 이 시기를 "빈은 서구 역사상 가장 놀라운 문화적 승리 중 하나를 이루었다. … 빈 시스템에 의해 보호받아 심각한 경제적 혼란의 저하된 영향에 저항하고 산업 사회의 대중이 이전에 도달하지 못했던 수준을 달성한 고도로 발달된 산업 노동 계급의 상태에서 전례 없는 도덕적, 지적 부상을 이루었다."라고 회상했다.[6]
2. 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사회 상황
생제르맹 조약으로 오스트리아는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고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러시아 내전과 반유대주의 폭력을 피해 온 난민, 특히 오스트리아 갈리치아 출신 유대인들이 빈으로 유입되었다. 전직 군인들과 제국 정부 공무원들이 빈에 머무르면서 인구 구성에 큰 변화가 생겼다.[1][2]전쟁 채권 구매로 인해 빈곤층으로 전락한 중산층, 하이퍼인플레이션, 식량 부족, 결핵, 스페인 독감, 매독 등의 질병 만연으로 사회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1]
2. 2. 붉은 빈의 등장
1919년 5월 4일 최초의 보통 선거로 치러진 빈 시의회 의원 선거에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DAP)이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야코프 로이만이 사회민주당 소속 첫 빈 시장이 되었다.[10]당시 빈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군이 점령했던 갈리치아(현재의 우크라이나 서부) 출신 난민과 제국군 전역 병사들이 정착해 있었다. 전쟁 중 전시 채권을 구입했던 중산층은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빈곤층으로 전락했고, 주변 지역 독립으로 식량 부족이 심화되었으며, 주택난과 결핵, 스페인 독감, 매독이 만연했다.[10]
카를 레너의 보수·혁신 연합 정권은 공화국 성립 일주일 만에 8시간 노동제를 도입하고, 고용 보험 제도와 노동자 합의 기관인 "노동 평의회"를 발족했다. 그러나 1920년 연합 정권이 붕괴하면서, 사회민주당은 1945년까지 연방 차원에서는 야당이나 지하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10]
하지만 1919년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이 빈에서 절대 다수를 얻어 집권을 이어갔다. 사회민주당은 빈을 사회민주주의 정치의 빛나는 본보기로 삼고자 했으며, 이는 유럽 전체의 주목을 받았다. 존 귄터는 "빈에서는 사회주의자들이 주목할 만한 통치를 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자치 단체로 만들지 않았는가. (중략) 빈의 사회주의자에 의한 공적은 전후 유럽 각국에서 가장 활력에 넘치는 사회주의 운동이었다."라고 평가했다.[10]
2. 3. 오스트로마르크시즘과 붉은 빈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빈 시민들의 사회적, 물리적 삶의 전반적인 변혁을 추구했다. 그들은 위생 기준 향상, 새롭게 만들어진 공공 시설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을 추구했으며, 주요 공중 보건 문제에 집중했다.[1] 이러한 새로운 프로그램은 주로 빈 대학교 교수이자 의사였으며, SDAP 내 여러 인물들과 가까운 관계였던 율리우스 탄들러가 관리했다.[1]1931년 빈 시의회(''Gemeinderat'')가 발행한 선전 포스터는 53,000개의 ''Säuglingspakete''(의류 꾸러미영어)를 도움이 필요한 부모에게 배포했으며, “''Kein Wiener Kind darf auf Zeitungspapier geboren werden''”(“빈의 어떤 아이도 신문지 위에서 태어나서는 안 된다”)를 목표로 한다고 명시했다.[1] 유치원의 총 수는 5배로 증가했고, 방과 후 센터가 설립되어 아이들에게 활동을 제공했으며, 학교에서 보조금을 받는 점심 식사가 도입되었고, 의료 및 치과 검진이 등록된 아이들의 가족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다.[1][2] 위생 기준을 지원하기 위해 공중 목욕탕이 건설되었다.[1][2] 영아 사망률은 전쟁 전 수준의 50% 미만으로 떨어졌고, 결핵 환자도 약간 감소했다.[1]
1921년, SDAP 다수파인 빈 시의회는 "노동자 화장 협회"와 잡지 ''Die Flamme''(불꽃영어)를 비롯한 여러 옹호 단체의 요청에 따라 Feuerhalle Simmering의 건설을 승인했다.[1] 1923년 화장터가 문을 열면서 SDAP와 CSP 사이의 문화적 갈등이 빠르게 격화되었다.
가톨릭 교회의 압력을 받은 연방수상 이그나츠 자이펠 치하의 CSP 주도 국가 정부는 당시 빈 시장 카를 자이츠에게 해당 시설의 운영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자이츠는 시의회와 빈 연방주의 뜻을 집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입장을 취하며 거부했다.[1]
1923년 오스트리아 입법 선거에서 선출되기 전 독한 반유대주의로 명성을 얻은 자이펠은 빈의 유대인 인구뿐만 아니라 SDAP 내 유대인 구성원(그중에서도 화장터 개장을 지지했던 빈시 보건 위원이자 '복지부'의 책임자였던 율리우스 탄들러가 특히 두드러짐)이 수세기 동안 오스트리아의 삶을 지배해 온 가톨릭적 풍습을 전복하려 한다는 믿음을 굳게 지켰다.[1] CSP가 화장터의 지속적인 운영에 대해 빈 연방 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후, 자이츠는 헌법 재판소에서 연방 행정부에 대한 불복종을 변호해야 했다. 법원은 1924년에 강력한 가톨릭 세력에 맞서 SDAP가 거둔 몇 안 되는 승리 중 하나로 빈 주 정부의 편을 들었다.[1]
2. 4. 보수 세력과의 갈등
SDAP의 정책은 오스트리아 내 보수 세력, 특히 기독교 사회당(CSP)과 가톨릭 교회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존 건더는 "마르크스주의적 빈과 성직자 시골 간의 불균형은 히틀러가 부상할 때까지 오스트리아 정치의 지배적인 ''동기''였다"라고 평가했다.[7]사회 민주당은 빈 안팎의 학문 기관과 지식인 집단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노력했지만, 보수적인 가톨릭 “검은 옷”의 영향력은 억제되지 않았다.[5] 가톨릭 교회는 오스트리아의 주요 정신적 세력으로서의 역할을 거의 잃지 않았다. 빈의 노동 계급조차도 교회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으며, 사회 프로그램, 공휴일 및 종교 예배를 통한 교회의 영향력은 SDAP 통치 기간 내내 계속되었다.[2]
3. 일반 정책
SDAP는 노동자 권익 보호와 사회 복지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8시간 노동제 도입, 실업 수당 제도 시행, 노동자 회의소 설립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에 대한 열정은 1919년 공산주의자 세력의 쿠데타 시도 이후 CSP 내에서 점차 줄어들었다.[1] CSP는 연합에 대한 신뢰를 잃었고, 이후 GDVP와 제휴했다.[1]
1920년 SDAP-CSP 연합 붕괴 후, SDAP는 1920년 오스트리아 총선에서 의회 과반수를 잃고 연방 차원에서는 야당으로 남게 되었다.[1] 그러나 비엔나 시에서는 계속 통치하며 사회 민주주의 정치의 본보기로 만들기 위한 개혁을 추진했고, 이는 유럽 전체의 큰 관심을 끌었다. 오스트리아 보수 세력은 이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당시에는 비엔나 선거에서 사회 민주당의 성공에 맞설 수 없었다.
3. 1. 노동 정책
SDAP-CSP 연합 정부는 공화국 선포 일주일 만인 1918년 11월에 8시간 노동제를 법적으로 도입했다.[1] 또한, 실업 수당 제도가 시행되었고, 노동자의 공식 로비 단체인 노동자 회의소가 설립되었다.[1]3. 2. 빈의 주 승격
사회민주당(SDAP)과 기독교 사회당(CSP)은 "붉은 비엔나"를 "검은 저오스트리아"에서 분리하는 데 합의했다. 국회는 1921년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헌법 법안을 통과시켰고, 1922년 1월 1일에 비엔나는 아홉 번째 연방 주로 재편되었다.[2]4. 주요 정책
붉은 빈 시기 사회민주노동자당(SDAP)은 주택난 해소, 복지 및 의료 서비스 확대, 재정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요 정책을 추진했다.
주택 정책:제1차 세계대전 이후 극심한 주택난에 직면한 붉은 빈 시정부는 Gemeindebau(시립 건물) 건설을 통해 대규모 공공 주택 공급을 추진했다. 1925년부터 1934년까지 6만 개 이상의 시립 건물(아파트)가 건설되었으며, 카를 마르크스 호프와 같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녹지 공간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1] 이러한 아파트 건설에는 빈 주택세 수입, 빈 사치세 수입, 연방 기금 등이 사용되었으며, 공공 자금 투입을 통해 임대료를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1] 공공 주택 임대료는 근로자 가구 수입의 4%에 불과했지만, 민간 주택은 30%까지 상승했다.[2]
복지 및 의료 정책: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빈 시민들의 위생 기준을 높이고, 공공 시설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주요 공중 보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1] 유치원을 5배로 늘리고, 방과 후 센터를 설립하여 아이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공했다. 학교에서는 보조금을 받는 점심 식사를 제공하고, 등록된 아이들의 가족에게는 무료 의료 및 치과 검진을 실시했다.[1][2] 또한, 공중 목욕탕을 건설하여 위생을 지원했다.[1][2]
빈 대학교 교수이자 의사였던 율리우스 탄들러는 붉은 빈의 사회 복지 및 의료 정책을 주도했다.[1] 그는 "우리가 젊은이들을 위한 시설에 투자함으로써 감옥에 돈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임산부와 신생아 케어에 투자함으로써 정신병원에 돈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사회 복지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 이러한 정책들은 영아 사망률을 전쟁 전 수준의 절반 미만으로 낮추고, 결핵 환자 수도 감소시키는 성과를 냈다.[1]
재정 정책:붉은 빈 시정부는 주택 건설 및 사회 복지 프로그램 재원 마련을 위해 독자적인 세제를 도입했다. 오스트리아 연방 헌법은 징세권을 포함한 광범위한 자치권을 주에 부여했으며, 빈 시는 주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다.[12]
후고 브라이트너의 이름을 딴 "브라이트너 세"는 승마, 대형 자가용, 개인 가구의 하인, 호텔 객실과 같은 사치품에 부과되었다.[1] 주택 건설세(Wohnbausteuer)는 누진세 형태로 부과되었으며, 소득에 따라 증가하는 비율로 적용되었다.[2] 이 세금으로 얻은 수입은 시의 광범위한 주택 프로그램 자금으로 사용되었다.[2]
그러나 후고 브라이트너는 모든 프로젝트와 투자를 세금으로 직접 조달하여 시의회가 부채를 지지 않도록 했다.[1][2] 1930년대 초 연방 정부가 빈 시를 재정적으로 고립시키면서, 중앙 정부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빈 시의 사회 서비스는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2]
4. 1. 공공 주택
제1공화국 수립 이전, 사회민주노동자당(SDAP)의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자들은 공공 주택 문제를 사회주의 승리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러나 전쟁 이후 빈(Vienna) 시의회(Gemeinderat)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였기에, SDAP는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을 시작해야 했다.[2]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극심한 주택난에 직면한 붉은 빈 시정부는 Gemeindebau(시립 건물) 건설을 통해 대규모 공공 주택 공급을 추진했다.
4. 1. 1. 주택난 해결 노력
사회민주노동자당(SDAP)은 1917년 제정된 ''세입자 보호법''(Mieterschutzgesetz)이 아파트 임대료를 동결시켜 민간 주택 건설 유인을 감소시켰다고 보았다.[2][9] 이에 1919년 ''주택 요구법''(Wohnunganforderungsgesetz)을 통과시켜 주택난 완화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1]1925년부터 1934년까지 6만 개 이상의 시립 건물(아파트)가 건설되었다.[2] 카를 마르크스 호프와 같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녹지 공간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다.[1] 이 아파트의 세입자는 장애인 및 기타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게 우선 순위가 주어지는 순위 시스템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2][1]
건설 비용의 40%는 빈 주택세 수입에서, 나머지는 빈 사치세 수입과 연방 기금에서 충당되었다.[1] 공공 자금을 사용하여 건설 비용을 충당함으로써 이러한 아파트의 임대료를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2] 예를 들어, 공공 주택의 임대료는 근로자 가구 수입의 4% 정도에 불과했지만, 민간 주택은 30%까지 상승했다. 또한, 질병이나 실업 시 임대료 지불이 유예되었다.
4. 1. 2. 공공 주택의 특징
사회민주노동자당(SDAP)은 1917년 황제-왕립 정부가 제정한 ''Mieterschutzgesetz'' ("세입자 보호법")으로 인해 아파트 임대료가 1914년 수준으로 동결되어, 새로운 사립 주택 건설이 어려워지자 공공 주택 건설 사업을 주요 관심사로 삼았다.[2] 1919년 연방 의회에서 통과된 ''Wohnunganforderungsgesetz'' (“주택 요구법”)은 건설 부지에 대한 낮은 사적 수요와 낮은 건설 비용을 가능하게 하여 시 행정부의 광범위한 공공 주택 계획에 유리하게 작용했다.[1][2]1925년부터 1934년까지 6만 개 이상의 새로운 아파트가 Gemeindebau(시립 건물)에 건설되었으며, 카를 마르크스 호프와 같이 녹지 공간을 중심으로 위치했다.[1][2] 이 아파트의 세입자는 장애인 및 기타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게 우선적으로 배정되었다.[2][1]
건설 비용의 40%는 빈 주택세 수입에서, 나머지는 빈 사치세 수입과 연방 기금에서 충당되었다.[1] 공공 자금을 사용하여 건설 비용을 충당함으로써 아파트 임대료를 낮게 유지할 수 있었다.[2] 예를 들어, 공공 주택의 임대료는 근로자 가구 수입의 4% 정도에 불과했지만, 민간 주택은 30%까지 상승했다. 또한, 질병이나 실업 시 임대료 지불이 유예되었다.
1924년에서 1934년 사이에 집 없이 쉼터에서 생활하는 빈 시민의 수는 3배로 증가하여 8만 명에 달했지만, 시의 건설 프로그램은 20만 명, 즉 인구의 10분의 1을 수용했다.[1]
4. 2. 복지 및 의료 서비스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빈 시민들의 위생 기준을 높이고, 공공 시설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주요 공중 보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1] 그 일환으로 53,000개의 ''Säuglingspakete''(의류 꾸러미)를 도움이 필요한 부모에게 배포하고, “''Kein Wiener Kind darf auf Zeitungspapier geboren werden''”(“빈의 어떤 아이도 신문지 위에서 태어나서는 안 된다”)라는 목표를 내걸었다.[1]이를 위해 유치원을 5배로 늘리고, 방과 후 센터를 설립하여 아이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공했다. 학교에서는 보조금을 받는 점심 식사를 제공하고, 등록된 아이들의 가족에게는 무료 의료 및 치과 검진을 실시했다.[1][2] 또한, 공중 목욕탕을 건설하여 위생을 지원했다.[1][2]
이러한 정책들은 영아 사망률을 전쟁 전 수준의 절반 미만으로 낮추고, 결핵 환자 수도 감소시키는 성과를 냈다.[1]
4. 2. 1. 율리우스 탄들러의 역할
빈 대학교 교수이자 의사였던 율리우스 탄들러는 붉은 빈의 사회 복지 및 의료 정책을 주도했다.[1] 그는 위생 기준 향상과 공공 시설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을 추구했으며, 주요 공중 보건 문제에 집중했다.[1] 탄들러는 사회 정책에 관한 자치단체의 지출을 전전 대비 3배로 늘려, 신생아 사망률을 전국 평균 이하로 낮추고 결핵 감염률을 절반 정도로 감소시켰다.[1] 그는 "우리가 젊은이들을 위한 시설에 투자함으로써 감옥에 돈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임산부와 신생아 케어에 투자함으로써 정신병원에 돈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1] 또한 탄들러는 가스와 전기, 쓰레기 처리를 자치단체가 운영하도록 하여 건강 상태 개선에 기여했다.[1]4. 2. 2. 주요 복지 정책
율리우스 탄들러가 관리한 주요 공중 보건 문제에 집중한 여러 프로그램으로 빈 시민들의 사회적, 물리적 삶의 전반적인 변혁이 이루어졌다.[1]1931년 ''Gemeinderat''가 발행한 선전 포스터는 도움이 필요한 부모에게 53,000개의 ''Säuglingspakete''(의류 꾸러미)를 배포했으며, “''Kein Wiener Kind darf auf Zeitungspapier geboren werden''”(“빈의 어떤 아이도 신문지 위에서 태어나서는 안 된다”)를 목표로 한다고 명시했다.[1] 유치원의 총 수는 5배로 증가했고, 방과 후 센터가 설립되어 아이들에게 활동을 제공했으며, 학교에서 보조금을 받는 점심 식사가 도입되었고, 의료 및 치과 검진이 등록된 아이들의 가족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다.[1][2] 위생 기준을 지원하기 위해 공중 목욕탕이 건설되었다.[1][2] 영아 사망률은 전쟁 전 수준의 50% 미만으로 떨어졌고, 결핵 환자도 약간 감소했다.[1]
자녀 양육 가구에는 "신문에 싸여지는 아이"가 나오지 않도록 아동 대상 "의류 수당"이 지급되었으며, 일하는 여성의 직장 복귀를 위해 유치원 등도 다수 개원했다. 또한 의료비가 무료화되고 공공 목욕탕과 스포츠 시설도 정비되었다. 이러한 복지·의료 서비스는 당시 시의원을 맡고 있던 율리우스 탄들러로 하여금 "우리가 젊은이들을 위한 시설에 투자함으로써 감옥에 돈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임산부와 신생아 케어에 투자함으로써 정신병원에 돈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라고 말하게 했다.
사회 정책에 관한 자치단체의 지출은 전전에 비해 3배가 되었다. 신생아 사망률은 국내 평균을 밑돌았고, 결핵 감염률은 절반 정도로 하락했다. 가스와 전기, 쓰레기 처리가 일제히 자치단체에 의해 운영된 것도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
4. 2. 3. 보건 성과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위생 기준 향상과 공공 시설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을 추구했으며, 주요 공중 보건 문제에 집중했다.[1] 1931년 ''Gemeinderat''가 발행한 선전 포스터는 도움이 필요한 부모에게 53,000개의 ''Säuglingspakete''(의류 꾸러미영어)를 배포했으며, “''Kein Wiener Kind darf auf Zeitungspapier geboren werden''”(빈의 어떤 아이도 신문지 위에서 태어나서는 안 된다영어)를 목표로 한다고 명시했다.[1] 유치원의 총 수는 5배로 증가했고, 방과 후 센터가 설립되어 아이들에게 활동을 제공했으며, 학교에서 보조금을 받는 점심 식사가 도입되었고, 의료 및 치과 검진이 등록된 아이들의 가족에게 무료로 제공되었다.[1][2] 위생 기준을 지원하기 위해 공중 목욕탕이 건설되었다.[1][2]그 결과, 영아 사망률은 전쟁 전 수준의 50% 미만으로 떨어졌고, 결핵 환자도 약간 감소했다.[1] 사회 정책에 관한 자치단체의 지출은, 전전에 비해 3배가 되었다. 신생아 사망률은 국내 평균을 밑돌았고, 결핵 감염률은 절반 정도로 하락했다. 가스와 전기, 쓰레기 처리가 일제히 자치단체에 의해 운영된 것도 건강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
4. 3. 재정 정책
붉은 빈 시정부는 주택 건설 및 사회 복지 프로그램 재원 마련을 위해 독자적인 세제를 도입했다. 오스트리아 연방 헌법은 징세권을 포함한 광범위한 자치권을 주에 부여했으며, 빈 시는 주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다.[12] 이를 바탕으로 빈 시는 연방세에 더해 주 법에 의해 독자적인 세금을 신설했다.새로운 세금은 당시 재무장관 후고 브라이트너의 이름을 따 "브라이트너 세"라고 불렸으며, 주로 사치품에 부과되었다.[1] 또 다른 세금인 "주택 건설세"는 누진세 형태로 소득에 따라 세율이 증가했으며, 시의 주택 프로그램 자금으로 사용되었다.[2] 이 두 세금은 빈 시 복지 재정의 일부만을 충당했고, 나머지는 중앙 정부 자금에 의존했다.
후고 브라이트너는 모든 프로젝트와 투자를 세금으로 직접 조달하여 시의회가 부채를 지지 않도록 했다.[1][2] 그러나 1930년대 초 연방 정부가 빈 시를 재정적으로 고립시키면서, 중앙 정부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빈 시의 사회 서비스는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2]
4. 3. 1. 브라이트너 세
후고 브라이트너의 이름을 딴 "브라이트너 세"는 승마, 대형 자가용, 개인 가구의 하인, 호텔 객실과 같은 사치품에 부과되었다.[1]4. 3. 2. 주택 건설세
주택 건설세(Wohnbausteuer)는 누진세 형태로 부과되었으며, 소득에 따라 증가하는 비율로 적용되었다.[2] 이 세금으로 얻은 수입은 시의 광범위한 주택 프로그램 자금으로 사용되었다.[2] 예를 들어, 카를 마르크스 호프와 같은 대규모 현대식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는데, 아파트 건설 비용의 40%는 주택세로 충당되었다.[11] 이러한 주택 건설세 덕분에 공공 주택의 임대료는 근로자 가구 수입의 4% 정도에 불과했지만, 민간 주택의 임대료는 수입의 30%까지 상승했다.[11] 또한, 병에 걸리거나 실업 상태가 되면 임대료 지불이 유예되는 혜택도 제공되었다.[11]4. 3. 3. 재정 운영의 한계
사회민주당은 주법에 따라 연방세에 추가로 징수되는 새로운 세금을 도입했는데, 이는 당시 재무장관 후고 브라이트너의 이름을 따 "브라이트너 세"라고 불렸다.[2] 이 세금은 승마, 대형 자가용, 개인 가구의 하인, 호텔 객실과 같은 사치품에 부과되었다.[1]또 다른 새로운 세금인 "주택 건설세"(Wohnbausteuer)는 누진세로, 소득에 따라 증가하는 비율로 부과되었다.[2] 이 세금으로 얻은 수입은 시의 광범위한 주택 프로그램 자금으로 사용되었다.[2] 그러나 이 두 가지 새로운 세금 구조는 빈 시의 복지 전체 자금의 일부만 제공했으며, 대부분은 중앙 정부의 자금에 의존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협조적이지 않거나, 심지어 적대적인 연방 정부의 자금 지원에 대한 의존도는 시의회(Gemeinderat)가 일부 시의 프로그램들을 철회하라는 기독사회당(CSP)의 압력에 취약하게 만들었다.[1]
1930년대에 들어서자, 연방 정부가 빈을 재정적으로 압박했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는 삭감되었다. 후고 브라이트너는 1945년 이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과는 달리, 사회 서비스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대출을 받는 것을 일관되게 거부하고, 모든 프로젝트와 투자를 세금을 통해 직접 자금을 조달했다. 이것은 시의회(Gemeinderat)가 부채를 지는 것을 피하게 했다.[1][2] 국민의회(Nationalrat)의 자금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했기 때문에, 1930년대 초 연방 정부가 빈 시를 재정적으로 고립시키기 시작했을 때 이러한 서비스는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2]
5. 관련 인물
참조
[1]
서적
Red Vienna : experiment in working-class culture, 1919-1934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
서적
The Austrian socialist experiment : social democracy and austromarxism, 1918-1934
https://www.worldcat[...]
Westview Press
1985
[3]
웹사이트
WASSERKOPF - Translation in English - bab.la
https://en.bab.la/di[...]
[4]
서적
Wittgenstein's Vienna
Simon & Schuster
1973
[5]
서적
Black Vienna : The Radical Right in the Red City, 1918–1938
Cornell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7]
서적
Inside Europe
Harper & Brothers
1933
[8]
웹사이트
Sever, Albert
http://www.dasrotewi[...]
2021-04-12
[9]
간행물
Reichsgesetzblatt für 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 No. 34 and 36/1917
http://alex.onb.ac.a[...]
Austrian National Library, historical laws online
[10]
서적
Inside Europe
Harper & Brothers
1933
[11]
간행물
Reichsgesetzblatt für 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 No. 34 and 36/1917
http://alex.onb.ac.a[...]
Austrian National Library, historical laws online
[12]
서적
新版 世界各国史 19 ドナウ・ヨーロッパ史
山川出版社
1999
[13]
서적
The Austrian socialist experiment : social democracy and austromarxism, 1918-1934
https://www.worldcat[...]
Westview Press
1985
[14]
서적
Red Vienna : experiment in working-class culture, 1919-1934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